주식 투자, 참 어렵죠?
특히 요즘처럼 시장이 오락가락할 때는 어디에 발을 담가야 하나 고민이 깊어집니다.
그러다 뉴스나 커뮤니티에서 '어떤 테마가 뜬다더라!', '누구 관련주가 상한가 갔다더라!'
이런 소식 들리면 귀가 솔깃~ 해지기도 하고요.
괜히 나만 뒤처지는 거 아닌가 싶기도 하고...
특히 정치 테마주처럼 이슈 하나에 들썩들썩!
하루아침에 천국과 지옥을 오가는 종목들은 더더욱 정신 바짝 차려야 합니다.
한순간의 선택이 정말 큰 결과로 이어질 수 있으니까요.
참고글: 정치인 관련주 대선 테마주 급등 급락의 비밀(소중한 내 돈 지키는 안전 투자법)
오늘은 최근 시장에서 종종 이름이 오르내리는
'김문수 관련주(테마주)'에 대해 한번 짚어보고 가려고 합니다.
어떤 종목들이 있고, 대체 왜! 관련주로 엮이는 건지, 그리고 그 회사들은 실제로 무엇을 하는 곳인지 표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매우 중요! 아래 표의 '관련성 근거'는 시장의 루머나 기대감일 뿐이며, '주요 사업' 내용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실제 기업 가치나 펀더멘탈과는 전혀 별개로 움직이는 테마성 흐름일 뿐임을 반드시 인지하셔야 합니다!★)
종목명 | 주요 사업 (예시) | 김문수 위원장 관련성 근거 (시장 루머) | 비고 (참고) |
---|---|---|---|
디지캡 | 디지털 콘텐츠 보안 솔루션 (DRM), 방송/미디어 솔루션 등 | 대표이사 경북고 동문 | 학연 |
대주산업 | 배합사료 제조 및 판매 | 본사/공장 경북권 위치 | 지연 |
나우IB | 벤처캐피탈, 신기술사업금융 | 경영진 중 서울대 동문 포함 | 학연 |
에스엠라이프디자인 | 인쇄, 콘텐츠 유통(DVD 등), 기타 상품 사업 | 과거 경기도지사 시절 정책 관련 기대감 (희박) | 과거 정책 기대 |
토탈소프트 | 해운 항만 물류 솔루션 개발 및 공급 | 대표이사 서울대 동문 + 본사 부산 위치 | 학연 + 지연 |
서희건설 | 건설업 (아파트 브랜드 '스타힐스' 등), 환경/에너지 사업 | 회사 관계자 중 서울대 동문 포함 | 학연 |
화성밸브 | LPG 용기용 밸브, 플랜트용 밸브 등 각종 밸브 제조 | 대표이사 서울대 공대 동문 | 학연 |
아즈텍WB | 원단, 섬유 제조 및 판매 | 본사 대구/경북 위치 | 지연 |
웰크론한텍 | 산업용 플랜트(식품제약, 에너지 등), 환경설비, 건설 | 본사 경산(경북권) 위치 | 지연 |
플레이그램 | 투자, 유통 등 (사업 변동성 존재 가능) | 과거 인연 등 (근거 불명확) | 과거 인연 등 |
* 위 표의 '주요 사업'은 간략한 예시이며, 실제 사업 내용은 변동될 수 있으니 DART 공시 등을 통해 직접 확인하시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 '관련성 근거'는 시장에서 거론되는 내용일 뿐, 해당 기업의 공식 입장이나 실제 사업 연관성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표를 보시면 더 명확해지죠? '관련성'이라고 하는 것들이 대부분 학연, 지연, 혹은 아주 희미한 과거의 연결고리나 기대감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이 회사들이 실제로 어떤 기술을 가지고 있고, 돈을 얼마나 잘 벌고 있으며, 미래 전망은 어떤지는
이 '테마'와는 전혀 다른 차원의 이야기라는 것을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
★테마에 휩쓸려 기업의 본질을 보지 못하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됩니다!★</p
왜냐하면요, 정치 테마주는 정말이지...
기업의 본질적인 가치와는 저~ 멀리 떨어진 곳에서
정치 뉴스, 인물 발언 한마디, 심지어는 단순 인맥 지도(?)에 따라
주가가 그야말로 예측 불가능하게 요동치는 경우가 너무 많거든요.
물론, 잘 타면 단기간에 짜릿한 수익을 맛볼 수도 있겠죠.
하지만 그 '짜릿함' 뒤에는 언제 터질지 모르는
'아찔한 위험성'이 항상 도사리고 있다는 사실!
순간적인 급등세? 네, 혹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불기둥 뒤에는 언제나 시퍼런 음봉이 기다릴 수 있다는 점!
이걸 꼭 기억하셔야 해요.
따라서 '김문수 관련주'라는 테마 자체에 호기심이 생기더라도,
실제 투자 버튼을 누르기 전에는
이런 롤러코스터 같은 변동성과 리스크를
내가 정말 감당할 수 있는 깜냥이 되는지,
스스로에게 백번 천번 물어봐야 합니다.
★분위기에 휩쓸려서 추격 매수하는 거요? 그거 정말 안습 엔딩각입니다!★
투자를 고려한다면, 최소한 이것만은 확인합시다!
만약, 정말 만약에,
관련 종목 투자를 신중하게 고려해 보신다면,
'카더라' 통신이나 정체불명 찌라시에 의존하지 마시고,
최소한 아래 방법으로 직접! 정보를 확인하고 판단하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내 돈은 소중하니까요!
- 전자공시시스템(DART) 열어보기:
이 회사 뭐 하는 회사지? 돈은 벌고 있나? 빚은 얼마나 있지?
사업보고서, 분기/반기 보고서 보면 다 나옵니다. 꼭 보세요!
어렵다고요? 그래도 봐야 합니다!
- 믿을 만한 뉴스/리포트 찾아보기:
공신력 있는 언론사의 경제 뉴스나 여러 증권사 리포트를 교차 확인!
단, 리포트도 너무 맹신은 금물! 비판적으로 읽는 센스가 필요합니다.
- 투자 위험 안내문 확인하기:
금융감독원 '소비자 정보 포털'이나 한국거래소 '시장 경보' 꼭 체크!
혹시 해당 종목에 위험 딱지가 붙어있지는 않은지 확인하는 건 기본 중의 기본!
★그리고 진짜 진짜 가장 중요한 것!★
세상 그 누구도 당신의 투자를 대신 책임져 주지 않습니다.
모든 투자의 최종 결정, 그리고 그 결과는!
오롯이! 전적으로! 투자자 본인의 몫이라는 사실!
이걸 단 한 순간도 잊으시면 안 됩니다.
부디 감정에 휘둘리지 마시고,
'대박'에 대한 막연한 기대감보다는
냉철한 분석과 자신만의 투자 원칙을 가지고
신중하게, 또 신중하게 접근하시길 바랍니다!
우리 개미들, 소중한 돈 지켜야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