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63

전세보증금 반환 확약서 정말 중요한 문서 잊지마세요 전셋집에서 나올 때 가장 걱정되는 게 바로 보증금을 제대로 돌려받을 수 있느냐는 거다. 이런 걱정을 덜어주는 게 바로 전세보증금 반환 확약서다. 어떻게 작성하고 활용해야 하는지 자세히 알아보자.왜 필요할까?확약서는 집주인이 보증금을 반드시 돌려주겠다고 약속하는 문서다. 법적으로도 효력이 있어서 나중에 문제가 생겼을 때 증거로 쓸 수 있다. 공증을 받지 않아도 효력이 있다는 게 장점이다.어떻게 써야 할까?먼저 임대인(집주인)과 임차인(세입자)의 정보를 정확히 써야 한다. 이름은 물론이고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까지 꼼꼼히 적어야 한다.그 다음은 계약 내용이다. 전세금이 얼마고, 언제부터 언제까지 계약하는지, 집 주소와 면적은 어떻게 되는지 등을 자세히 적어야 한다.가장 중요한 건 확약 내용이다. 집주인이 얼.. 2024. 12. 7.
전세 최우선 변제금 모든 것을 알아보자 전세 사기가 늘어나면서 최우선변제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소액 임차인을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진 이 제도,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지 자세히 알아보자.최우선변제금이란?쉽게 말해서 전세보증금을 돌려받을 때 가장 먼저 받을 수 있는 돈이다. 집주인이 은행에서 대출을 받았더라도, 소액임차인은 이 금액만큼은 은행보다 먼저 받을 수 있다.얼마나 받을 수 있나?지역마다 기준이 다르다. 2024년 기준으로 서울은 보증금이 1억 6500만원 이하인 경우 최대 5500만원까지 받을 수 있다. 수도권 과밀억제권역은 1억 4500만원 이하에서 4800만원, 광역시는 8500만원 이하에서 2800만원, 그 외 지역은 7500만원 이하에서 2500만원이다.단, 주의할 점이 있다. 이 금액이 집이 경매로 팔린 가격의 절반을 .. 2024. 12. 7.
신규입사자 건강검진 관련된 여러 팩트들 점검 취업하면 제일 먼저 건강검진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다. 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신규입사자 건강검진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자.법적으로는 의무가 아니다먼저 알아야 할 것은 신규입사자 건강검진이 법적 의무사항이 아니라는 점이다. 2005년 10월에 산업안전보건법이 바뀌면서 채용 시 건강진단 제도가 폐지됐다. 즉, 회사가 입사할 때 건강검진을 받으라고 요구할 수는 있지만, 법적으로 반드시 해야 하는 건 아니다.그래도 건강검진을 요구한다면?만약 회사에서 건강검진을 요구한다면, 비용은 회사가 부담해야 한다. 채용절차법에서 이런 비용을 구직자에게 부담시키는 걸 금지하고 있다. 간혹 회사에서 건강검진 비용을 본인이 내라고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건 불법이다.입사 후 건강검진은 어떻게?입사 후에는 정기.. 2024. 12. 6.
민증 신규발급 어렵지 않아요 이것만 하면 됨 만 17세가 되면 꼭 해야 하는 게 있다. 바로 주민등록증 발급이다. 운전면허증이나 여권도 있지만, 주민등록증은 가장 기본이 되는 신분증이니 꼭 만들어야 한다. 어떻게 만들 수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자.언제 만들어야 할까?만 17세가 되는 다음 달부터 1년 안에 만들어야 한다. 예를 들어 2007년 3월에 태어났다면 2024년 4월부터 2025년 3월까지가 신청 기간이다. 이 기간을 놓치면 과태료를 내야 하니 꼭 기억하자.어디서 만들 수 있나?좋은 소식이 있다. 2023년부터는 전국 어디에서나 만들 수 있다. 예전에는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곳에서만 할 수 있었는데, 이제는 그런 제한이 없어졌다. 학교 때문에 타지에서 살고 있다면, 그 근처 주민센터에서 편하게 신청할 수 있다.무엇을 준비해야 할까?제일 중요.. 2024. 12. 6.